반응형
1.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란?
- 다른 장치들끼리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설정된 공통된 인터페이스를 말합니다.
- 쉽게 생각해 보면 장치와 장치 사이에 데이터 통신을 해야 하는데, 미리 정해놓은 어떤 규약(약속)에 따라서 통신을 하게 됩니다. 이때 이 규약(약속)을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라고 합니다.
2. 프로토콜의 표준화가 필요한 이유?
- 모든 송신자와 모든 수신자가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지키기만 한다면 서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줍니다.
- 하지만 프로토콜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면, 특정 송신자는 자신의 프로토콜과 일치한 특정 수신자에게만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게 됩니다.
3. 프로토콜의 종류
- 많이 들어본 프로토콜 위주로 정리해보면 TCP, IP, UDP, HTTP 등이 있습니다. 여기서 마지막에 붙은 'P'가 Protocol의 약자입니다.
(1) TCP 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
- OSI 참조 모델 4계층의 전송 계층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.
- TCP는 데이터의 손실이 없이 확실하게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프로토콜입니다. (수신 확인을 진행)
- 현재는 TCP와 IP를 조합한 TCP/IP 프로토콜이 사용되고 있습니다.
(2) IP (Internet Protocol)
- OSI 참조 모델의 3 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.
- 각 장치(기기)에 주소를 할당하고 경로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.
- 상위 계층에서 패킷을 보내주면, 패킷을 수신한 뒤에 IP 헤더를 추가하여 네트워크에 전송하게 됩니다.
- IP 헤더에는 보내는 사람(수신자)의 IP 주소, 받는 사람(송신자)의 IP 주소와 같은 정보들이 모여있고, 이 정보를 가지고 경로를 선택하여 물통 릴레이 방식으로 목적지로 패킷이 전달됩니다.
(3) UDP (User Datagram Protocol)
- TCP와 마찬가지로 OSI 참조 모델 4 계층의 전송 계층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.
- TCP에서는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송신 측은 수신 측에 패킷이 정상적으로 도달했는지 확인을 진행합니다.
- UDP에서는 단순히 패킷을 보내기만 할 뿐 수신측에 패킷이 정상적으로 도달했는지 확인하지 않습니다.
- 도중에 패킷이 분신되어도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신뢰성은 떨어지지만 처리가 가벼워서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
- 동영상과 같이 도중에 일부가 끊어지는 것보다는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것이 중요한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프로토콜입니다.
(4) HTTP (Hyper Text Transfer Protocol)
- WWW 클라이언트(웹 브라우저)와 WWW 서버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.
- 웹 브라우저에서 요청이 들어오면 WWW 서버는 응답하는 방식으로 작동되는 간단한 프로토콜입니다.
- 일반적인 통신 포트는 80번 포트를 사용합니다.
💡 면접에서 나올 수 있는 질문
-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무엇인가요?
-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표준화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설명해 보세요.
- TCP와 UDP을 비교하여 설명해 보세요.
반응형
'📘 Computer Science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HTTPS와 SSL/TLS (0) | 2023.06.22 |
---|---|
[네트워크] PDU (Protocol Data Unit) (0) | 2023.06.03 |